1. 담석증 원인과 효과적인 치료법
1) 담석증
담석증은 담즙이 담낭이나 담관 내에서 굳어져 돌처럼 형성되는 질환입니다.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며, 심한 경우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담석증의 다양한 원인과 함께 효과적인 치료법 7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.
담석증은 담낭이나 담관 안에서 담즙의 성분이 응축되어 돌처럼 굳어지는 질환입니다. 이러한 담석은 크기가 작을 수도, 혹은 담낭 전체를 채울 정도로 클 수도 있습니다. 담석이 담관을 막으면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며, 심한 경우 담낭염, 담관염, 췌장염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
최근에는 서구화된 식습관과 비만 인구 증가로 인해 담석증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.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, 2020년 담석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. 40~50대 여성 환자가 가장 많지만, 20~30대 젊은 환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.
2) 담석증의 주요 원인
담석증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
① 콜레스테롤 담석
가장 흔한 형태의 담석으로, 담즙 내 콜레스테롤 성분이 과도하게 많아져서 형성됩니다. 고지방, 고칼로리 식단, 비만, 여성 호르몬(에스트로겐) 등이 콜레스테롤 담석 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. 특히 40대 이후 여성에게서 콜레스테롤 담석 발생률이 높게 나타납니다.
② 색소성 담석
빌리루빈이라는 담즙 색소 성분이 과도하게 응축되어 형성됩니다. 용혈성 빈혈, 만성 간 질환, 기생충 감염 등이 색소성 담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③ 혼합 담석
콜레스테롤과 색소 성분이 혼합되어 형성됩니다. 콜레스테롤 담석과 색소성 담석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.
이 외에도 급격한 체중 감량, 당뇨병, 특정 약물(피임약, 콜레스테롤 저하제) 복용, 유전적인 요인 등이 담석증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.
|
||
|
3) 담석증의 증상
담석은 담낭 안에 있을 때는 대부분 증상이 없습니다. 하지만 담석이 담관을 막으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① 복통
주로 오른쪽 윗배(우상복부) 또는 명치 부위에 심한 통증이 발생합니다. 통증은 갑자기 시작되어 30분~수 시간 지속될 수 있으며, 등이나 어깨로 통증이 퍼지기도 합니다.
② 소화 불량
담석이 담즙의 흐름을 막아 지방 소화를 방해하여 소화 불량, 속쓰림, 메스꺼움,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③ 황달
담석이 담관을 막아 빌리루빈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면 황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피부와 눈 흰자가 노랗게 변하며, 소변 색깔이 진해지고, 대변 색깔이 옅어집니다.
|
||
|
④ 발열 및 오한
담석으로 인해 담낭에 염증이 생기면 발열, 오한, 근육통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⑤ 기타 증상
식욕 부진, 체중 감소, 잦은 트림, 복부 팽만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4) 담석증의 진단
담석증은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.
① 복부 초음파 검사
가장 흔하고 안전한 검사 방법으로, 담낭 및 담관의 상태와 담석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② CT 검사
복부 초음파 검사로 담석 확인이 어려운 경우, CT 검사를 통해 담석의 위치와 크기, 담낭 및 담관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
|
||
|
③ 담관 조영술(ERCP)
담관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담관의 상태를 촬영하는 검사입니다. 담석의 위치와 크기, 담관 막힘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, 동시에 담석을 제거하는 시술도 가능합니다.
④ 혈액 검사
간 기능 검사, 빌리루빈 수치 검사 등을 통해 담낭 및 담관의 염증 여부와 황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5) 담석증의 치료법 7가지
담석증의 치료법은 담석의 크기, 위치, 증상 유무, 환자의 전신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.
① 대기 요법
증상이 없는 작은 담석의 경우,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를 관찰하는 대기 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.
② 약물 치료
일부 담석 용해제를 사용하여 담석을 녹이는 치료법입니다. 하지만 효과가 미미하고 재발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|
||
|
③ 체외 충격파 쇄석술(ESWL)
몸 밖에서 충격파를 쏘아 담석을 잘게 부수는 치료법입니다. 하지만 담석이 다시 뭉쳐질 수 있으며, 담관 손상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④ 내시경적 담석 제거술(ERCP)
내시경을 통해 담관으로 접근하여 담석을 제거하는 시술입니다. 담석 제거와 동시에 담관 막힘을 해결할 수 있지만, 시술 후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.
⑤ 복강경 담낭 절제술
배에 작은 구멍을 내고 복강경을 삽입하여 담낭을 제거하는 수술입니다. 가장 흔하고 효과적인 담석증 치료법으로, 수술 후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⑥ 개복 담낭 절제술
배를 절개하여 담낭을 제거하는 수술입니다. 복강경 수술이 어려운 경우 시행하며, 수술 후 회복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|
||
|
⑦ 식이 요법
담석증 환자는 지방 섭취를 줄이고, 고섬유질 식단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. 기름진 음식, 튀김, 패스트푸드, 고기, 유제품 등을 제한하고, 채소, 과일, 곡류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.